나만의 재테크 포트폴리오 첫 단계, 자산배분 상관계수를 알아보자

우리는 평균 수명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를 바라보는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60대에 은퇴하고 (그때까지 회사에 붙어있으면 다행이죠) 나머지 40년, 60년을 노동수익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돈을 벌어야 합니다. 물론, 일을 꾸준히 할 수 있겠지만 인간의 신체와 에너지는 무한할 수가 없어 언제까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지 불투명합니다. 100세까지 오로지 노동수익에 의존해 살아갈 수 없는 것입니다. 또한, AI시대로 인해 일자리가 많이 줄어들고, 전쟁과 같은 세계적 변동성에 흔들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이 돈을 벌어다 주는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것이죠. 그 중 하나가 자본수익입니다. 자본수익을 만들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안정적인 자산 배분이 있는데요. 오늘은 자산 배분과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란 내가 투자하는 상품들의 묶음을 말하는데요. 자산 배분을 하면 우리는 단단하고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간단한데요. 여러 자산들이 모였을 때 자산들이 가진 성격에 따라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는 어느 정도 방어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죠.

 

 

상관관계 이해하기

 

여기 A 자산, B 자산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자산이 완전히 똑같이 움직인다고 가정할 때 상관계수가 1인 자산의 포트폴리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발생했을 때 서로 보완되지 못하고 함께 폭락하게 되어 극복하지 못하게 됩니다. A라는 자산이 꼭 오를 것이라는 믿음을 확고히 가지고 있다면 떨어지는 순간에도 가지고 있는 것이 좋겠습니다. 나중에 큰 수익으로 돌아온다면 입가에 미소를 짓게 해줄 겁니다. 재테크는 자신의 투자성향과 판단에 의해 하는 것이니까요. 여러 가지 자산을 섞는다는 건 하락이 왔을 때 평균을 유지하고 버티기 위해서입니다.

 

 

 

상관ㄱ

 

자산 C, 자산 D가 있습니다. 이 자산들은 서로 상관관계가 -1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에 보듯이 완전히 반대되는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하나의 자산이 떨어질 때 다른 자산이 올려주고 보완해 주는 모습입니다. 오르고 떨어지고를 반복하면서 결국 우상향하게 됩니다. 자산이라고 하는 것은 우상향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로 움직임을 상쇄시켜 주면서 평균의 값이 우상향하게 되고 안정적인 수익을 가지고 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상관관계가 -1인 자산들을 찾아서 얼만큼, 얼마의 비율로 섞어 보관할지 정해야 합니다.

2개의 자산이 같은 방향(1)으로 가는지 반대 방향(-1)으로 가는지 수치를 나타낸 것이 바로 상관계수입니다. 서로 완전 무관하면 0으로 표현합니다. -1부터 1까지 수많은 수치 중에 우리는 -1에 가까운 자산들끼리 섞어서 담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죠. 예를 들어 웃기는 장면을 같이 보고 같이 웃는다면 상관계수가 1이라고 할 수 있고, 전혀 웃음 코드가 다른 사람들끼리는 -1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있어서는 원수 같은 웃음 코드가 전혀 다른 사람들끼리 묶어 놓는 것이 아무래도 좋습니다. 그리고 -0.3 정도의 상관계수를 나타낸다면 충분히 포트폴리오에 넣을 만큼 좋은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0.5 정도를 넘어가게 되면 정말 큰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죠..

 

금과 은

금과 은은 동일한 분류의 귀금속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금과 은은 비슷하면서 작은 차이를 보이기에 1에 가까운 0.8 정도의 상관계수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그 외의 다른 자산들과는 큰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아 금 자체적으로 가진 방향성을 가지고 상승합니다. 자체적으로 고유한 가치를 유지한다는 뜻으로 많은 투자자들이 금을 소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국내 주식과 회사채(-0.57)

코스피가 하락하는 시기에는 기업들의 채권인 회사채의 가치가 올라갑니다. 코스피가 떨어지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부도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더 웃돈을 주고 채권을 거래하게 되는데요. 우리나라 주식과 채권만으로 상당한 자산배분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한국부동산과 미국주식 (-0.39)

우리나라의 부동산은 대부분의 자산과 어느 쪽으로도 방향성이 강하지 않은데요. 그런데 미국의 주식과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혹시 우리나라의 부동산에 적극적 투자를 하고 있다면 반대로 미국의 주식을 사두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국내주식과 달러 (-0.55)

국내주식의 비중이 큰 투자에는 달러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음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0.55의 수치는 상당히 큰 편이고, 코스피가 떨어지면 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달러를 원화로 바꾼 후 떨어진 주식을 다시 사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죠. 우리는 위기가 언제 오는지 알 수 없기때문에 평소에도 달러를 차곡차곡 모아두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마음이 편한 투자

 

자산배분 상관계수

 

이렇듯 안정적이면서 가장 신경을 덜 써도 되는 투자법은 자산배분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빨리 가는 토끼보다는 천천히 안정적으로, 멀리 갈 수 있는 거북이를 자산배분 투자라 할 수 있는 것이죠. 아직 뚜렷한 투자전략이 없다면 이 방법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Leave a Comment